驚蟄 |
24절기 중 세 번째 節氣. 啓蟄이라고도 한다. 태양의 黃經이 345도에 이르는 때로 동지 이후 74일째 되는 날이다. 양력으로는 3월 5일 무렵이 된다.
|
【驚蟄의 의미와 관련 풍속】
『漢書)』에는 啓蟄이라고 기록되었는데, 후에 漢 武帝의 이름인 啓를 避諱하여 놀랠 驚자를 써서 驚蟄이라 하였다. 餘寒未盡의 季節이다.옛사람들은 이 무렵에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를 들은 벌레들이 땅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東醫寶鑑』 論一元十二會三十運에는 “동면하던 동물은 음력 寅月에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경칩에 해당하며, 음력 戌月에는 동면을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立冬에 해당한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禮記』 「月令」에는 “이월에는 식물의 싹을 보호하고 어린 동물을 기르며 고아들을 보살펴 기른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경칩이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이므로 이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시기임을 의미한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왕이 농사의 본을 보이는 籍田을 경칩이 지난 亥日에 先農祭와 함께 행하도록 정하였으며, 경칩 이후에는 갓 나온 벌레 또는 갓 자라는 풀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을 놓지 말라는 禁令을 내리기도 했다. 『成宗實錄』에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하였듯이, 우수와 경칩은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이다.
|
우수와 경칩이 지나면 대동강물이 풀린다고 하여 완연한 봄을 느끼게 된다. 초목의 싹이 돋아나고 동면하던 벌레들도 땅속에서 나온다고 믿는다. 이날 농촌에서는 산이나 논의 물이 괸 곳을 찾아다니며, 몸이 건강해지기를 바라면서 개구리(또는 도롱뇽) 알을 건져다 먹는다.
또 경칩에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한다. 특히 빈대가 없어진다고 하여 일부러 흙벽을 바르기도 한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재를 탄 물그릇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기도 한다. 경칩에는 보리 싹의 성장을 보아 그 해 농사를 예측하기도 한다. 樂吾堂感興 中
霽亭 李達衷(1326~1385)
又
行莫近蠱窠 가다가도 해충의 집 근처에는 가지를 마라
驚蟄卽有蝮 엎드린 독사 놀라니
居莫近鳥巢 거처로는 가까운 새집에 가지 말라
啄啐則有鵩 찍고 꾸짖음에는 올빼미 있다
苟不愼其微 진실로 기미 조심하지 않으면
終然肆爾毒 끝내는 그 해악됨에 방자히 하리라
斯言君莫輕 이 말을 가볍게 여기지 말라 我迺黃金玉 나는 금이나 옥보다 귀중히 여기노라 丙寅十二月二十日書事
復齋 鄭摠(1358~1397)
反時災屢作
太息仰蒼穹
暴雹死飛鳥
狂雷驚蟄蟲
山嵐黃漠漠
木稼白濛濛
徹樂敬天怒
誰能達九重 |
출처 : 범고레
글쓴이 : solpee 원글보기
메모 : 좋은 정보 저의 방으로 슼므랩해 갑니다. 감사합니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츠지/일산] 일산대표 이자까야 츠지 (0) | 2010.03.10 |
---|---|
[스크랩] 건강기능식품, 함부로 먹지 마라 (0) | 2010.03.08 |
[스크랩] 고스톱을 배워야하는 이유 (0) | 2010.03.05 |
[스크랩] 알고 먹으면 더 좋은 보약... 쌀 (0) | 2010.03.04 |
[스크랩] 맹자의 성선설과 우산지목 (0) | 201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