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크랩

청명(淸明) 고마우신 벗님 들에게

 

 

02012013

 

 

청명(淸明) 안부입니다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음력 3월 절기이며, 양력 4월 5, 6일경이 됩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입니다.

이날은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도 있습니다.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습니다.

 

이날에 식목일 겹치는 것이 보통인데, 날이 풀리고 화창하여 일년 중 식목에 가장 적당한 시기이기 때문에 식목일을 청명과 같은 날로 잡은 듯합니다.

 

옛 사람은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후로 세분하여, 초후(初候)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中候)에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末候)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습니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밭둑의 손질을 하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작업이 되겟습니다.

 

다음 절기인 곡우 무렵에는 못자리판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농사를 많이 짓는 경우에는 일꾼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청명, 곡우 무렵이면 서둘러 일꾼을 구하기도 하였습니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청명(淸明)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친다. 임금은 이 불을 정승, 판서, 문무백관 3백 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 준다-. 라고 쓰여있으며 이를 사화(賜火)라 했습니다.

 

수령들은 한식(寒食)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寒食(한식)인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온 백성이 한 불을 씀으로써 동심일체를 다지고 같은 운명체로서 국가 의식을 다졌던 것입니다.

 

<열양세시기>에서는 이와같이 불을 나누어주는 일을 한식조에 기록하고 있고, 청명에 대하여서는 언급이 없습니다.

 

불은 한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니, 한식조에 기록하는 것이 옳다고 하겠습니다.

 

최남선(崔南善)은 한식의 풍속을 고대의 종교적 의미로 해석하여, 해마다 봄에 신화(新火)를 만들어 구화(舊火)를 금지하던 예속에서 나온 것으로 보았습니다.

 

청명과 한식은 흔히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뒤섞이는 경우가 많으나, 청명은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하나이므로 농사관계사항을 기록하는 것이 옳습니다.

 

청명, 한식이면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 시집 장가 갈 때 농짝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다합니다.

 

이날 보통 성묘(省墓)를 갑니다.

 

우리 조상들만큼 성묘를 자주 하는 민족도 없을 것입니다.

 

옛날에는 일년에 네 번, 그러니까 봄에는 청명(淸明), 여름에는 중원(中元, 음7월 15일), 가을에는 추석(秋夕), 겨울에는 동지(冬至)날, 눈길을 밟으며 찾아 뵙고 산소위의 눈을 쓸어 내렸습니다.

 

청빈의 덕으로 우주의 기운은 자력과 같아서 밝은 마음을 지니고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살면 밝은 기운이 밀려와 우리의 삶을 밝게 비춘다고 합니다. 

환한 미소로 좋은 날 맞이 하시고 행운 가득한 나날 되세오_()_

 

김묘순영남산타령
http://cafe.daum.net/ynsant 으로부터 받은 메일 내용입니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소중한 친구에게   (0) 2013.04.07
[스크랩] 초청장  (0) 2013.04.07
不覺到君家  (0) 2013.04.05
春夜風雨  (0) 2013.04.04
버리고 비우는 일은 지혜로운 삶의 선택  (0) 2013.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