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st Genuine Feeling/ 至情
인간의 가장 깊고 순수한 감정은 무엇일까? 재미난 조크에는 웃음이 터져 나오고, 슬픈 일을 당하면 눈물이 솟아나온다. 우리는 인간에게 오욕칠정(五慾七情)이 있다고 배워왔으며 그렇게 의식하고 살아오고 있다. 온갖 섬세한 인간의 감성을 다 표현하기 어렵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깊고 순수한 사람의 감정을 무엇이라고 말하겠는가?
조선 시대로부터 우리 문사(文士)들에게 널리 알려진 송(宋)나라 때의 동파 소식(東坡 蘇軾)의 삼부자(三父子)를 삼소(三蘇)라면서 그들의 글을 즐겨 읽었다. 소철(蘇轍)이 그의 형 소동파(蘇東坡)가 감옥에 갇혔을 때 보낸 편지 글의 대목이다. “매우 급한 곤경에 처하면 하느님을 부르고, 몹시 아프고 고통스러우면 아버지 어머니를 부르는 것이 인간의 지극한 감정이다(困急而呼天, 疾痛而呼父母者 人之至情也).” 지극한 정(至情]이란 가장 순수한 감정(the most genuine feeling)이라고 영어로 번역한다. 위급할 때 ‘아들아!’ 하거나 자식의 이름을 부르는 경우도 있던가? 이슬람 신봉자는 ‘알라(Allah)!’ 불교도는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칠성신(七星神)을 믿으면 ‘아이고 칠성님!’ 할 수 있겠지만 말이다.
그러니까 다른 생각의 여지가 없을 때, 죽음에 이를 것 같은 아주 다급한 상황이 갑자기 닥쳤을 때에 어떤 생각을 돌려볼 여유가 있겠는가? 심층에서 저절로 솟구쳐 오르는 밑바닥의 순전한 감정이 될 것이라는 전제(前提)가 거기 있으므로 순수하다는 것이다. 철학을 논하고 물리적 이치를 따지면서 종교의 호불호(好不好)를 역설하는 학자라도 당장 죽는 데에는 무슨 이론과 논변이 있을 수 있겠는가. “아이고, 맙소사(하느님)!” 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화닥닥 호랑이가 눈앞에 나타나면 “어매야!” “엄마야!” “아이고 아버지!” 그렇게 우리가 얼떨결에 부모를 소리쳐 부르지 않겠는가. 소철(蘇轍/ 1039-1112)의 지정(至情)이 그런 맥락일 것 같다. 그렇다면 인간의 본성이 하나님과 가깝고, 부모와 가장 가깝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세상에 가장 가까운 것이 부모인데, 죽음에는 하느님과 가깝다는 뜻이 된다. 인간의 순수한 감정은 하늘과 부모에게 밀착되어 있는가?
인간의 가장 깊고 순수한 감정은 무엇일까? 재미난 조크에는 웃음이 터져 나오고, 슬픈 일을 당하면 눈물이 솟아나온다. 우리는 인간에게 오욕칠정(五慾七情)이 있다고 배워왔으며 그렇게 의식하고 살아오고 있다. 온갖 섬세한 인간의 감성을 다 표현하기 어렵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깊고 순수한 사람의 감정을 무엇이라고 말하겠는가?
조선 시대로부터 우리 문사(文士)들에게 널리 알려진 송(宋)나라 때의 동파 소식(東坡 蘇軾)의 삼부자(三父子)를 삼소(三蘇)라면서 그들의 글을 즐겨 읽었다. 소철(蘇轍)이 그의 형 소동파(蘇東坡)가 감옥에 갇혔을 때 보낸 편지 글의 대목이다. “매우 급한 곤경에 처하면 하느님을 부르고, 몹시 아프고 고통스러우면 아버지 어머니를 부르는 것이 인간의 지극한 감정이다(困急而呼天, 疾痛而呼父母者 人之至情也).” 지극한 정(至情]이란 가장 순수한 감정(the most genuine feeling)이라고 영어로 번역한다. 위급할 때 ‘아들아!’ 하거나 자식의 이름을 부르는 경우도 있던가? 이슬람 신봉자는 ‘알라(Allah)!’ 불교도는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칠성신(七星神)을 믿으면 ‘아이고 칠성님!’ 할 수 있겠지만 말이다.
그러니까 다른 생각의 여지가 없을 때, 죽음에 이를 것 같은 아주 다급한 상황이 갑자기 닥쳤을 때에 어떤 생각을 돌려볼 여유가 있겠는가? 심층에서 저절로 솟구쳐 오르는 밑바닥의 순전한 감정이 될 것이라는 전제(前提)가 거기 있으므로 순수하다는 것이다. 철학을 논하고 물리적 이치를 따지면서 종교의 호불호(好不好)를 역설하는 학자라도 당장 죽는 데에는 무슨 이론과 논변이 있을 수 있겠는가. “아이고, 맙소사(하느님)!” 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화닥닥 호랑이가 눈앞에 나타나면 “어매야!” “엄마야!” “아이고 아버지!” 그렇게 우리가 얼떨결에 부모를 소리쳐 부르지 않겠는가. 소철(蘇轍/ 1039-1112)의 지정(至情)이 그런 맥락일 것 같다. 그렇다면 인간의 본성이 하나님과 가깝고, 부모와 가장 가깝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세상에 가장 가까운 것이 부모인데, 죽음에는 하느님과 가깝다는 뜻이 된다. 인간의 순수한 감정은 하늘과 부모에게 밀착되어 있는가?
'지인의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Korean Edition of The Forgotten War 0f 1950의 한글판 책 발간에 (0) | 2021.09.03 |
---|---|
학을 떼는 금계랍 / 金鷄蠟 (0) | 2021.09.03 |
Jonah's Gourd/ 요나의 박 넝쿨 (0) | 2021.09.01 |
칠팔월 은어 곯듯 (0) | 2021.09.01 |
BBC and Rare-Earth Element/ 첨단 기술과 자산 (0) | 2021.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