息元學 十神通變 - ≪003≫ 식신(食神) 편(篇)
甲日生 --- 丙, 巳
乙日生 --- 丁, 午
丙日生 --- 戊, 辰, 戌
丁日生 --- 己, 丑, 未
戊日生 --- 庚, 申
己日生 --- 辛, 酉
庚日生 --- 壬, 亥
辛日生 --- 辛, 酉
壬日生 --- 甲, 寅
癸日生 --- 乙, 卯
성정(性情)
총명(聰明), 재능(才能), 건강(健康), 덕망(德望), 언변(言辯), 관대(寬大)함 등(等)이다.
배 속(配 屬)
남명(男命)
조모(祖母), 손자(孫子), 장모(丈母), 선생(先生), 예능인(藝能人), 통역관(通譯官), 방송인(放送人), 산부인과(産婦人科), 약사(藥師), 식품발명가(食品發明家), 요식업(料食業), 음식업(飮食業).
여명(女命)
조모(祖母), 자녀(子女), 선생님(先生任), 산부인과(産婦人科), 약사(藥師), 예능인(藝能人), 방송인(放送人), 요식업자(料食業者), 산모(産母), 산파(産婆).
인체(人體)
식도(食道), 위장(胃臟), 안면(顔面), 소화기계통(消化器系統), 남녀생식기(男女生殖器), 유방(乳房), 항문(肛門), 입(口), 자궁(子宮), 언어(言語).
사물(四物)
공기(空氣), 곡식(穀植), 약품(藥品), 식품(食品), 약제(藥劑), 과수원(果樹園), 제과점(製菓店), 학교(學校), 학원(學院), 산부인과(産婦人科), 탁아소(託兒所), , 식량(食量).
학문(學問)
교육학과(敎育學科), 통역(通譯), 어학(語學), 신문방송학(新聞放送學), 연극영화학(演劇映畵學), 식품공학(食品工學), 식품영양학(食品營養學), 보육학과(保育學科), 수학과(數學科), 사육학(飼育學).
직업(職業)
교육자(敎育者), 선도(善導), 의약업(醫藥業), 연구개발(硏究開發), 교화사업(敎化事業)<스님;목사>, 변호사(辯護士), 중개업(仲介業), 식품업(食品業), 공갈(恐喝), 욕설(辱說).
식신(食神)의 칠살(七殺)은 편인(偏印)으로서 재성(財星)이 식신(食神)을 보호(保護)하지 못하거나 편인운(偏印運)을 만나는 것을 가장 싫어하며, 만일(萬一) 편인운(偏印運)에 재성(財星)이 식신(食神)을 보호(保護)하지 못하여 식신(食神)이 충극(沖剋)을 당(當)하는 경우(境遇)에는 탈식(奪食) 또는 효신(梟神) 또는 도식(倒食)이라 하고, 식신(食神)이 충극(沖剋)을 당하면 건강(健康)이 극도(極度)로 좋지못 하거나, 식중독(食中毒), 환각제(幻覺劑), 음독자살(飮毒自殺), 위장병(胃腸病), 유산(流産), 자녀(子女)를 잃게 되거나, 가출(家出)하는 경우(境遇)가 발생(發生)하고 건강상(健康上) 문제(問題)로 수술(手術)을 하거나, 매사(每事)가 시작(始作)은 있으나 끝이 없음이니 실패(失敗)만 발생(發生)하고, 주중(柱中)에 있거나 유년기(幼年期)에 들면 어린시절(時節)에 젖이 부족(不足)하였거나, 유모(乳母)의 의(依)하여 자랐거나, 극심(極甚)하면 부모(父母)의 음덕(陰德)을 입을수 없어 고아(孤兒)로서 성장(成長)하게 되며, 몸집은 왜소(矮小)하고 극심(極甚)한즉 단명(短命)하게 된다.
특(特)히 여명(女命)에서 식신(食神)이 많으면 부운(夫運)을 충극(沖剋)하게 만들거나 불길(不吉)하게 만들고, 재성(財星)이 통관(通關)을 시키지 못하는 경우(境遇)에는 부부이별(夫婦離別), 별거(別居), 사망(死亡), 남아(男兒)를 출산(出産)하면 부부이별(夫婦離別)하거나 남편(男便)이 사망(死亡)하는 불운(不運)을 당(當)하는 경우(境遇)가 발생(發生)하고 경우(境遇)에 따라서는 독신생활(獨身生活)하는 경우(境遇)도 많다.
식신(食神)을 일명(一名) 수성귀인(壽星貴人), 천주귀인(天廚貴人), 식록(食祿)이라고 하고 일간(日干)과 비견(比肩)이 생성(生成)하는 오행(五行)으로서 양일간(陽日干)이 생성(生成)하는 양십신(陽十神)을, 그리고 음일간(陰日干)이 생성(生成)하는 음십신(陰十神)을 식신(食神)이라 말한다.
인간(人間)이 삶을 영위(營爲)하고 생활(生活)함에 인성(印星)인 재물(財物)이 없으면 의식주(衣食住)를 해결(解決)하지 못한다.
인수(印綬)가 없으면 굶어 죽거나, 부모(父母)가 없으면 이 세상(世上)에 태어나지도 못한다.
식신(食神)은 재성(財星) 양명(養命)의 근원(根源)인 정재(正財)를 정생(正生)하는 고로 식신(食神)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다.
식신(食神)은 자연적(自然的)으로 타고난 천연(天然)의 과실(果實)이요, 재능(才能)의 발산(發散)이며, 꽃(花)이요 꽃밭의 나비(Butterfly)이며 탐스러운 아름다운 용모(容貌)이며, 도화살(桃花殺)이며 의식주(衣食住)다.
의식주(衣食住)는 생활(生活)의 기본조건(基本條件)으로써 일간(日干)이 신왕(身旺)하고 식신(食神)의 천연적(天然的)인 의식주(衣食住)를 얻은 자(者)는 부귀(富貴)를 누리며 행복(幸福)하게 잘 살수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 조건(條件)을 갗추기 위해서 한 평생(平生)을 힘겹게 노력(努力)하고 노동(勞動)을 하며 몸부림을 치는 것이다.
그 소중(所重)한 식신(食神)의 의식주(衣食住)를 천부적(天賦的)으로 타고난 식신(食神)이란 십신(十神)은 만인(萬人)이 부러워하는 가장 으뜸가는 행운(幸運)의 별(星)로서 이 세상(世上)에 태여 나면서 부터 죽을때 까지 언제 어디서나 누군가를 통(通)해서 일간(日干)인 주인공(主人公)에게 풍부(豊富)한 의식주(衣食住)를 배풀고 안전(安全)하게 보살펴 주는 십신(十神)이다.
어려서는 부모슬하(父母膝下)에서 자라므로 하늘은 그 부모(父母)에게 풍부(豊富)한 물질적(物質的)인 은공(恩功)을 배푼다.
식신(食神)을 지닌 자식덕(子息德)으로 부모(父母)는 잘 살수있는 동시(同時)에 귀공자(貴公子)인 일간(日干)에게 호의호식(好衣好食)과 좋은 환경(環境)을 배푼다.
사람은 먹는것 만으로는 살수없다.
많이 배우고 많이 알어야 하고 지식(知識)이 풍부(豊富)해야 한다.
그것은 인수(印綬)다.
이토록 천연과실(天然果實)의 혜택(惠澤)을 풍부(豊富)하고 풍요(豊饒)로움의 십신(十神)인 식신(食神)을 지닌 일간(日干)이 머리를 쓰고 근심(僅心)을 하고 땀흘려 노력(努力)할리는 없다.
근심걱정 없이 호의호식(好衣好食)을 하니 소화(消化)가 잘되고 살이 찌며 몸집은 비대(肥大)하고 건강(健康)하다.
의식주(衣食住)가 풍부(豊富)하니 태평성세(太平盛世)로 마음이 안정(安定)되고 너그러우며 인심(人心)이 후(厚)하여 만인(萬人)에게 물질(物質)과 인정(人情)을 배푸니 누구에게나 호감(好感)을 싸고 만인(萬人)이 우러러 모시고 친구(親舊)가 많으며 만사(萬事)에 원만(圓滿)하고 모날줄을 모른다.
노(怒)할것이 없으니 성급(性急)하거나 불안(不安)함이 없고 막힘이 없고 만사형통(萬事亨通)하니 정신적(精神的)으로나 육체적(肉體的)으로 피곤(疲困)하거나 서둘것이 없다.
산(山)절로 물(水)절로 산수간(山水間)에 나도 절로 라는 옜말씀 그대로 절로 먹고 절로 입고 절로 자고 절로 살아가는 절로 인생(人生)이 바로 일간(日干)이 생산(生産)한 식신(食神)이다.
그러나 하늘이 내리신 식신(食神)을 노리고 해(害)치는 식신(食神)의 칠살(七殺)인 강적(强敵)이 바로 인공(人工)의 젖꼭지인 편인(偏印)이다.
편인(偏印)은 식신(食神)의 칠살(七殺)이다.
식신(食神)을 보호(保護)하는 십신(十神)은 오직 편재(偏載)다.
주중(柱中)에 식신(食神)이 있고, 편인(偏印)이 있거나 세운(歲運), 세운명궁(歲運命宮), 월운(月運)에서 만나고 재성(財星)이 무력(無力)하여 편인(偏印)이 힘을 얻는 관성운(官星運)을 만나면 소원(所願)대로 이뤄지는 만능(萬能)의 젖꼭지인 식신(食神)은 불행(不幸)하고, 가난(家難)하고 배고픈 편인(偏印)의 젖꼭지로 감쪽같이 바꿔치고 파괴(破壞)하여 없애 버리는 것이 편인(偏印)이다.
만사형통(萬事亨通)하는 식신(食神)대신 만사불통(萬事不通)하는 편인(偏印)을 몸에 걸치니 하늘과 자연(自然)은 그를 외면(外面)하고 모든 은총(恩寵)까지도 모두 한순간(瞬間)에 빼앗아 사라져 버리게 되니 눈물겨운 세월(歲月)을 보내거나 고아(孤兒)로 성장(成長)하거나 건강(健康)이 악화(惡化)되고 식중독(食中毒)을 이르키고 자녀(子女)가 가출(家出)하거나, 납치(拉致)어 살해(殺害)되며, 극심(極甚)하면 불구자(不具者)가 되기도 하며 신체적(身體的)인 결함(缺陷)으로 평생(平生)을 고생(苦生)으로 살게되니 갖은 재난(災難)을 모두 겪는다.
부모(父母)가 각종재난(各種災難)으로 망(亡)하고 스승이 등(背)을 돌리니 배움에 어려움이 발생(發生)하니 배움이 중지(中止)되거나 신문배달(新聞配達), 가정교사(家庭敎師),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어렵게 어렵게 구걸(求乞)로서 배워야 하고 직장(職場)에서도 버림을 받게 되니 의지가지(依支可知) 갈곳조차 사라져 버리니 하루아침에 노숙자(路宿者)로 돌변(突變)하는가 하면, 손발없는 불구자(不具者)로 전락(轉落)한다.
만일(萬一) 입태(入胎)인 식원(息元)에서 편인(偏印)이 왕성(旺盛)하면 뇌성마비(腦性痲痺), 불구자(不具者)로 280일간(日間) 모태(母胎)에서 성장(成長)하게 됨으로서 한평생(一平生) 불구자(不具者)로 살아간다.
아름다운 꽃밭에 차디찬 서리가 내리고, 눈보라가 휘날리니 아름다운 모습(貌習)이 추(醜)한 모습(貌習)으로 변모(變貌)하고 병고(病苦)가 발생(發生)하고 한여름에 강풍(强風)과 함께 눈보라가 휘몰아치고 갑자기 태풍(颱風)과 폭풍(暴風)이 휘몰아치는가 하면 우박(雨雹)까지 쏟아져 내려 풍년(豊年)의 농작물(農作物)에 막대한 피해(被害)를 입혀 흉년(凶年)으로 만들고 가뭄이 휩쓸고 해일(海溢)이 발생(發生)하고 각종(各種)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발생(發生)하고 자연재해(自然災害)가 끊임없이 발생(發生)하는 것이다.
그러나 편인(偏印)의 편관(偏官)이요 칠살(七殺)인 요령(要領)이 능소능대(能小能大)한 편재(偏載)가 있으면 무난(無難)하게 모든 재앙(災殃)을 슬기롭게 물리칠수 있고 극복(克服)할수있다.
그래서 식신(食神)은 재성(財星)이 곁에 있음을 가장 기쁘하고 호위병(護衛兵)으로 삼는다.
그 생산(生産)하는 인공재능(人工才能)인 생산수단(生産手段)을 상관생재(傷官生財)라 하고 천연적(天然的)인 생산수단(生産手段)을 식신생재(食神生財)라 한다.
아무리 좋은 식신(食神)을 지녔다 하여도 지나치게 신왕(身旺)하여 식신(食神)이 왕성(旺盛)하여 관성(官星)을 충극(沖剋) 한다면 남명(男命)은 자녀(子女)를 잔인(殘忍)하게 폭행(暴行)하고 살해(殺害)하며, 부인(婦人)을 폭행(暴行)하고 살해(殺害)하는 경우(境遇)가 발생(發生)하며 심지어는 토막 살인(殺人)을 자행(自行)하는 천인공노(天人共怒)할 야수(野獸)와 같은 인간(人間)아닌 인간(人間)이 되기도 하며, 직장(職場)이 패망(敗亡)하고 처가(妻家)가 몰락(沒落)하며 극심(極甚)히면 처가(妻家) 식구(食口)를 살해(殺害) 한다.
여명(女命)인 경우(境遇)라면 사치(奢侈), 유산(流産), 남편살해(男便殺害), 자살(自殺), 유흥(遊興), 도박(賭博), 아편(阿片), 성병(性病), 자녀가출(子女家出), 자녀살해(子女殺害), 등등 온갖 좋지못한 짓거리를 하게된다.
어느 십신(十神)이든 신왕(身旺)해서 좋을 것은 없고 오직 중화(中和)를 이루어야 부귀행복(富貴幸福)을 누리게 되는 것이지 신왕(身旺)하다고 좋을 것은 하나도 없다.
일간(日間)이 지나치게 신왕(身旺)하거나 비겁(比劫)이 혼잡(混雜)되면 식신(食神)의 편인(偏印)으로 작용(作用)한다는 기본적(基本的)인 원리(原理)부터 깨우쳐야 한다.
★☞ 출처 ☞ http://cafe.daum.net/cykhein ☜ 出處 ☜★
≪行自部 登錄 第2001-2號≫≪社團法人 韓國東洋運命哲學人協會≫
≪學術團體 東洋 哲學會≫≪釜山廣域市 支部長 歷任≫
☎ 息元學 理論, 姻緣法-著作權者-孩印(今昊) 김 찬영(金 瓚榮) ☎
☞要注意~息元學 資料 一切, 不法使用, 無斷複製, 再配布 禁止함.☜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싼 휴대폰 오래쓰는 노하우 (0) | 2010.08.28 |
---|---|
[스크랩] 대구(大口)요리 (0) | 2010.08.27 |
그릇...나의 크기... (0) | 2010.08.25 |
[스크랩] 닭꼬치 두배로 맛을 즐기는 방법 - 나만의 비법 (0) | 2010.08.22 |
[스크랩] 숙종대왕 이야기 (0) | 201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