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 부자도 몰라서
부엌에는 가보지도 않았는데
집에 있는 생원두를 버리기는 아깝고 해서
난생 처음으로 부엌이라는 데를 가서 후라이판으로 로스팅을 했다.
처음하는 일이긴 하지만,
굽는 것도 할만하다.
노릇 노릇하게 잘 볶였는데
그 정도에서 빨리 다른 그릇으로 옮겼어야만 하는데
안 옮겼드니 어느새 까아맣게 변해 버린다.
이런 잰장.
후라이판에 남았었던 잔열이 그만 콩을 더 볶을 줄이야 누가 알았겠는가?
커피를 내리기 위해서 볶은 콩을 갈다말고
우리잡 막내가 "이거 너무 볶은거 아냐?" 하길래
"야, 그 정도면 잘 된거야. 빨리 내려봐."
아니나 다를까, 커피 콩 본연의 맛보다는 쓰고 진하면서도 탄 냄새가 압도를 한다.
모두를 맛없다고 마시다 말고 갔다 버린다.
에이그 고급커피에 길들여진 그놈의 입맛들 하고선.....
내가 볶은 것이라서 아깝기도 하고, 볶은 공도 있고해서리 그래도 마시고 있자니
막내가 " 그만, 버리세요" 한다.
에이그 첫 작품이 이게 뭐람.
역시 후라이 팬 보다는 로스팅 기계가 필요한 듯 해보이지만,
비싼 로스팅 기계(적은게 30만원, 큰 것은 100만원 정도)를 살 수는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탐앤탐스나, 스타벅스 및 커피빈 정도의 커피는 맛이없어 못먹겠고
매일 신라호텔가서 마실 수도 없는 노릇이고
맛 잇는 커피를 마실려면 천상 이곳 저곳의 최고급 생원두를 사다가
잘 볶아서 내가 스스로 브랜딩해서 갈아 내려서 마시는 수 밖에 없으니
이 담에 후라이판의 잔열을 고려해서 다시 시도해 볼 요량이다.
두번째는 자신있다고 본다.
왜냐면, 이제 후라이판의 불을 꺼드라도 여전히 후라이판에는 콩을 더 볶을 수 있을
만큼의 잔열이 남아 있다는 것을 알았으니까.
여기에 더하여,
볶은 커피콩에 남아 있는 열기도 커피를 더 익게한다는 것까지 알았으니까.
오늘 또 다른 회원이 알려준다.
뚝배기에 볶아도 좋다라고...
그렇지, 후라이팬보다는 뚝배기가 훨 나을 수도 있겠구나.
그것도 돌솥 뚝배기라면 스톤로스팅 아닌가.
또 다른 회원이 말해준다.
1차 퍼핑 후 2차 퍼핑을 하면 쓰고 진한 커피가 되고
산미를 즐길려면 1차 퍼핑 중간에 불을 끄고 잔열로 익힌 후 1차 퍼핑을 마치던지
아니면 1차 퍼핑 후 바로 다른 그릇으로 옮겨 담으면 된다고.....
주말에는 재시도를 해 볼 요량이다.
'지인의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로 폭팔? (0) | 2011.03.14 |
---|---|
WRONG E-MAIL ADDRESS (0) | 2011.03.12 |
[스크랩]우리나라의 소문난 의사들 (0) | 2011.03.11 |
아는 만큼 맛있다 - 깊고도 화사한 향기가 시원스레 후각을 자극하는... (0) | 2011.03.01 |
자장이 동으로 간 까닭 (0) | 2011.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