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천의 진산(鎭山) 공작산(孔雀山)
강원도 홍천은 산악지형의 내륙에 자리한 지역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군이 아닌가 생각된다. 비록 아직 이렇다할 관광자원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지만,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아름다운 비경을 많이 품고 있어, 앞으로 개발유무에 따라 유명한 관광지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는 곳이다. 아름다운 비경이 많은 이곳 홍천에서도 가장 으뜸이 아마도 공작산일 것이다. 홍천강의 상류를 쫓아 거슬러 올라가면 겹겹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안품에 귀풍(貴風)스러운 산이 나타나니, 바로 역사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홍천의 진산 공작산(887.4m)다. 홍천군 화촌면 군업리와 동면 노천리의 경계를 이루면서 우뚝 솟은 이 산은 풍치가 아름답고 정상 일대의 깎아세운 듯한 암벽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산의 정상에 올라서면 홍천군 일대가 일망무제로 한 눈에 들어오고, 정상에서 서남쪽 능선을 이용하면 영서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고찰인 수타사로 향한다. 마치 한 마리의 거대한 공작새가 두 날개를 활짝 펼친 듯한 모습과 같기에 공작산이라 불리어지고 있는 이 산(하지만, 홍천읍에서 바라보면 거인이 하늘을 향해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의 아름다운 산세는 운무산, 수리봉, 발교산, 태학산 등이 겹겹으로 감싸돌고 홍천강으로 흘러드는 수많은 지맥의 골이 마치 부채살같이 아름답고, 봄에는 철쭉군락,여름에는 맑고 풍부한 물과 울창한 산림과 수려한 경관, 가을에는 단풍이 매우 아름다워서 울긋불긋한 단풍절경과 더불어 기암절벽과 분재모양의 노송군락을 즐길 수 있고, 겨울 눈 덮힌 산을 등반할 때면 공작산 백설의 아름다움과 수목이 펼치는 눈꽃향연을 만끽할 수 있기에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으로 선정된 산이기도 하다.
통상 산이 동물 모습을 닮으면 영기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풍수에 밝았던 자장율사는 영취산, 사자산, 정상을 봉정(鳳頂)이라 불렀던 설악산 봉정암(鳳頂巖) 등의 산기슭에 부처의 진신사리를 묻었다. 하지만 진신사리가 다 떨어졌을 때 그런 산이 나타났다면 무릎을 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공작산이 그 대표적 사례가 아닌가 한다. 홍천강 양쪽에 벌여있는 화촌면의 동부 전역을 물받이로 삼고있는 군업천을 거슬러가면서 살펴보면 산 머리가 영락없이 새 모양이다. 양 날개를 내삼포리와 응봉산 경계까지 펼치고 있는 안공작재 서쪽의 산줄기들은 소용돌이처럼 돌아가면서 홍천강으로 긴 꼬리를 흔들고 있다. 이같은 공작산은 남쪽 경계를 이루는 수타계곡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들판을 흐르던 물이 산 속으로 들어가 비경을 연출하는 까닭이다.
공작산 끝자락에 자리한 천년 고찰 수타사로 이르는 계곡에 펼쳐진 봄철의 철쭉과 가을의 단풍은 천하절경을 자랑한다. 공작산의 등반코스는 부채살 같은 수많은 지맥의 골을 따라 산정으로 오르기에 오르는 통로가 다양하다.
공작산에서 부터 내려오는 덕지천은 동면 노천리에서 부터 수타사까지 약 12km에 이르는 아름다운 비경을 연출하고 있으니, 바로 수타사계곡이다. 넓은 암반과 큼직큼직한 깊은 소(沼)들로 잘 어우러져 비경을 이루고 있으며, 계곡 양쪽으로는 기암절벽과 빽빽히 우거진 숲이 호위하고 있어 연초록으로 물드는 봄과 단풍으로 물드는 가을이 아름다운데, 특히 가을이 되면 계곡의 물과 바위, 그리고 소(沼)와 단풍이 수타사와 잘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기에 이곳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다보면 비경삼매에 빠져들기 일쑤이다.
2, 세조가 묵고 간 절 수타사
공작산의 안품 마치 공작이 알을 품고 있는 듯한 공작포란형(孔雀抱卵形)의 명당에는 천년 고찰 수타사가 고즈넉하게 자리잡고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강원도 홍천군 동면(東面) 덕치리 9번지 공작산(孔雀山) 자락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인 이 절은 서기 708년(성덕왕 7)에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산세가 아름다워 우적산(牛寂山) 일월사(日月寺)라 하였다고 전하지만, 원효는 686년 입적하였기에 아마도 이는 지어낸 말이 아닌가 한다. 하기사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절들이 자장, 의상, 원효 등의 삼인이 창건하였다고 하는데서도 알 수 있듯이 이는 사격(寺格)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편일수도 있을 것이다. 창건 이후 영서 지방의 명찰로 꼽히다가 1457년(세조 3)에 현 위치로 옮기면서 수타사(水墮寺)라 하였다. 특히 깊은 산 중 오지 절인 이 절에는 보물 제745호로 지정된 《월인석보 月印釋譜》가 있어서 상당히 의아스러운데, 이는 아마도 세조가 등창 치료차 오대산 상원사로 가다가 날이 저물자 물좋고 산수좋은 이곳에서 하루밤 유숙하면서 자고간 기념으로 이곳에다 월인석보를 남기고 간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절 이름이 수타사(水墮寺)로 된 유래는 이 절 뒷편으로 절 이름처럼 맑은 물이 떨어지는 소(沼)가 있는데, 조석(朝夕)으로 이를 본 스님들이 해마다 한 명씩 빠져죽는 일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유인즉, 그 맑음이 도를 지나쳐 자연을 그대로 되보이는 명경의 역할을 하니 그것을 따라 해탈을 하려는 스님들의 행동이 끊어지지 않았던 때문이라 한다.
그후 임진왜란의 병화로 완전히 불타버린 뒤 40년 동안 폐허로 남아 있다가 1636년(인조 14) 공잠(工岑)이 중창을 시작하여 법당을 다시 지었고, 뒤이어 1644년 학준(學俊)이 선당(禪堂)을 지었다. 1647년에는 계철(戒哲)과 승가(僧伽)가 승당(僧堂)을 건립하였으며, 1650년(효종 1) 도전(道佺)이 정문을 건립하고 1658년 승해(勝海)·정명(正明)이 흥회루(興懷樓)를 건립함으로써 정형된 가람을 갖추게 되었다.
1670년(현종 11)에는 정지(正持)·정상(正尙)·천읍(天揖)이 당대의 명장인 사인(思印)비구로 하여금 대종(大鐘)을 주조하여 봉안하였고, 1674년에는 법륜(法倫)이 천왕문인 봉황문(鳳凰門)을 세웠으며, 1676년(숙종 2)에 여담(汝湛)이 사천왕상을 조성하였다. 그뒤로도 1683년까지 불사가 계속되어 청련당(靑蓮堂)·향적전(香積殿)·백련당(白蓮堂)·송월당(送月堂) 등의 당우들도 차례로 중건되어 옛 모습이 재현되었다.
절집의 이름은 1811년(순조 11)에 들어서 무량한 수명을 누리라는 뜻과 아미타불의 무량한 수명을 상징하는 뜻에서 지금의 명칭인 수타사(水陀寺)로 바꾸었다. 사명을 바꾸게 된 동기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월사를 현 위치로 옮기고부터 절 옆 계곡의 소에 해마다 스님이 한 명씩 빠져 죽는 변이 생겼는데, 도참(圖讖)에 밝은 한 스님이 절 이름자가 ‘물 수(水)에 떨어질 타(墮)’이기 때문에 그렇다 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는 얘기가 전한다. 그 후 1861년(고종 15)에 윤치(潤治)가 중수하였으며 1878년 동선당(東禪堂)을 다시 세우고 칠성각을 신축하였다. 또 1976년 심우산방(尋牛山房)을 중수하고, 이듬해 삼성각(三聖閣)을 건립하였으며 1992년에 관음전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적광전(大寂光殿)을 비롯하여 삼성각·봉황문·흥회루·심우산방·요사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대적광전(강원유형문화재 17)은 수타사의 중심 법당으로 내부 장식이 정교하고 아름답다. 심우산방 옆에는 강원도보호수 제166호로 지정된 수령 5백년의 주목(朱木) 한 그루가 있다. 이 주목은 1568년에 사찰 이전을 관장하던 노스님이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땅에 꽂은 것이 자라난 것이라고 하며, 나무에 스님의 얼이 깃들어 있어 귀신이나 잡귀로부터 수타사를 지킨다는 설화가 있다.
이밖에도 보물 제745호로 지정된 《월인석보(月印釋譜)》와 고려 후기의 삼층석탑(강원문화재자료 11), 홍우당부도(紅藕堂浮屠:강원문화재자료 15) 등이 있다. 얼마 전까지 사찰 안에 있었던 성황당은 관음전 신축을 위해 철거하였다. 사찰 안에 성황당이 있었던 것은 특이한 경우이다.
공작산 기슭의 울창한 수림을 벗어나서, 흔히 수타사계곡으로 불리는 덕지천 상류에 이르면 넓고 깊은 소(沼)를 가로질러 화강암으로 만든 다리인 수타교(壽陀橋)가 나그네를 반기면서 일주문인양 절의 입구임를 알린다. 다리 위에서는 저 멀리 옛 수타사(水墮寺)란 사명(寺名)이 있게 만들었던 맑은 물이 마치 작은 폭포수인양 하얀포말을 일으키면서 깊은 소(沼)로 떨어지는 정경과 사찰의 정갈스러운 모습이 한 눈에 들어온다. 나저막한 평지에 배산을 하고 선 절집의 풍경은 참으로 고즈넉하고 평화롭다. 들고 나섬이 없는 평탄한 지붕의 높이가 그렇고 악산(惡山)스럽지 않는 공작산의 부드러움이 그러하며, 또 절 옆으로 휘감고 돌아 나가는 덕치천의 옥빛 맑은 물길이 더욱 더 그렇다. 그래서 수타사(壽陀寺) 보다는 수타사(水墮寺)라는 사명이 더욱 더 적격인 절이다.
절의 정문 격인 봉황문 앞에 서면 절로 탄성이 나온다. 봉황문 사이로 보이는 흥회루, 천년세월을 간직한 흥회루의 멋스러운 나무 기둥 사이로 간결미를 자랑하는 대적광전이 중첩되면서 만들어지는 공간의 깊이는 혼을 쏙 빼 놓을 만큼 강한 흡인력을 발휘한다. 봉황문의 판벽이 만들어내는 폐쇄감이 통로의 개방성을 극적으로 부각시키기 때문일 것이다.
더욱이 지세의 흐름에 따라 상승하는 흥회루와 대적광전을 한 축에 배치하여 단 한번의 시선으로도 곧장 비로자나불의 세계로 나아가게 한다. 절대 미감을 보여주는 프레임 구실을 하는 절집의 문루는 많지만, 이렇게 작은 규모의 절에서 심원하면서도 날렵한 공간감을 보여 주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봉황문을 지날 때, 한 순간 빛이 차단되고, 이어서 환히 열리는 공간은, 흥회루 너머가 그야말로 대적광(大寂光), 즉 고요한 빛으로 다가오는 빛의 부처인 비로자나불의 세계임을 몸으로 느끼게 한다.
흥회루는 이름 그대로 누각이 아니라 단층으로 된 맛배집이다. 문루가 아니면서 루(樓)라고 이름 붙인 까닭은 상징적 의미와 기능적 의미에서 찾아야 할 것인바, 먼저 상징적 의미를 보자면, 고창 선운사의 만세루처럼 누각은 아니지만 사실상 누각이 있어야 할 곳에 서서 다음에 전개될 공간이 불계(佛界)임을 알리는 문루 구실을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2층으로 짓지 않은 이유는 산지 가람이지만 기울기가 가파르지 않아서 다른 전각과 조화와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일 것으로 생각된다. 절집에서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4. 찾아가는 길
(1) 대중교통 이용시: 상봉터미널이나 동서울 터미널에서 홍천까지 직행버스 이용, 홍천에서 노천리행이나 물골행 버스를
타고 공작동에서 하차
(2) 자가용 이용시: 서울에서 6번 국도를 타고 양평까지 가서 양평에서 44번 국도를 이용하여 홍천까지 간 후, 홍천에서
444번 지방도를 이용하여 동면을 지나 수타사입구로 가면 됨
'지인의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은 물 흐르듯 흐르고~, 은퇴여행의 묘미~, 썰렁하기만한 연주회장 광경~ ....? (0) | 2011.06.13 |
---|---|
평균수명, 사라지는 강, 님비현상, IT업체의 상술에 대하여~ (0) | 2011.06.09 |
방아타령이랴...? (0) | 2011.05.26 |
한국사람들이 술 마실 때 (0) | 2011.05.16 |
소아암환우돕기 마라톤대회-5월1일 (0) | 201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