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으로 담은 술이 奇童酒인데 산후 조리에 어혈을 풀어주는 특효약이라고 한다. 일부ㅠ는 술로 담금하고 일부는 발효시켰다.
장송라는 소나무겨우살이로 지의류의 일종으로 나뭇가지에 붙어 자라며
길이 15~50센터미터나 되고 흰색이 도는 풀색의 실 모양입니다.
밑은 직경 0.5~1.5밀리이고 차츰 가늘어지면서 두 갈래씩 가지쳐 내려드리운다.
깊은산 또는 해발 1,500미터의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
바늘잎나무가 우거진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란다. 흔히 소나무 가지에 내려드리운다 하여 '송라'라고 한다.
음습한 산지의 수림중에 침엽수상에 기생하는데, 우리나라 중북부에 분포하며,
중국과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송라[松蘿: 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 여라[女蘿: 시경(詩經)], 송상기생[松上寄生: 본초강목(本草綱目)], 송락[松落: 국약적약리학(國藥的藥理學)], 수괘[樹挂: 흑룡강중약(黑龍江中藥)], 천붕초[天棚草, 설풍등:雪風藤, 산괘면:山挂面, 용수초:龍鬚草: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천봉초[天蓬草: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장송라[長松蘿, 파경송라:破莖松蘿, 절송라:節松蘿, 운무초:雲霧草: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가는 송라, 꼭지 송라, 가락지 송라, 소나무겨우살이 등으로도 불린다.
장송라[長松蘿: Usnea Longissima Ach.)
전체는 선 모양으로 길이가 약 100cm에 달하는데 기부는 나무껍질에 착생하여 아래로 드리운다. 분지는 없으며 가늘고 짧은 곁가지가 밀생하는데 그 길이는 약 1cm다. 회녹색이며 겉껍질의 질은 거칠고 성글며 중심의 질은 견고하고 치밀하다.
자기(子器)는 희소하고 접시 모양으로 가지의 끝에 나 있다.
파경송라[破莖松蘿: Usnea diffracta Vain.), 절송라[節松蘿, 운무초:雲霧草: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길이는 약 30cm이고 두 가닥의 분지가 있는데 갈라질수록 더 세밀하며 가지 표면에
뚜렷한 고리 모양의 파열구가 있다. 그늘지고 축축한 숲속의 침엽수에 착생한다.
<동의학사전>에서는 송라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송라(松蘿) // 여라(女蘿) // [본초]
깊은 산이나 높은 산(해발 1,500m)의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 바늘잎나무가
우거진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란다.
간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출혈을 멈추고 해독한다.
약리실험에서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머리가 아프고 눈이 충혈되는 데, 해소, 학질, 외상성출혈, 나력, 사교창등에 사용한다. 하루 6~9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바른다. 북한에서 펴낸 바늘잎나무가지나 줄기에 붙어 자란다. 동아시아에 퍼져 있다. 지의체는 연한 흰풀색의 실모양이며 길이 15~50cm이고 여러번 쌍갈래로 갈라지면서 자란다. 소나무가지에 내리 드리운다고 하여 송라라고 한다. 밑부분의 직경은 0.5~1.5mm이다.
[송라(Usnea diffracta Waniin.) 송라과(Usneaceae)에 속하는 지의류.
가락지송라라고도 부른다.
송라의 포자는 색이 없으며 포자주머니에 8개씩 들어 있다.
번식은 포자로 합니다. 식물체를 햇볕에 말리워 고려약으로 쓴다.
송라에는 지의산인 비르바틴산(C19 H20 O7), 우스닌산, 에베르닌산(C17 H16 O7), 디프락트산(C20 H22 O7) 등이 10% 정도 들어 있다.
우스닌산은 병원성세균에 대한 센 살균작용을 한다.
우스닌산은 균죽임약으로 여러 가지 상처와 덴데, 무좀, 습진, 땀띠 등 피부병에
바릅니다. 또한 애기집의 염증에도 쓴다.
민간에서는 오래전부터 오줌내기약, 가래삭임약, 부인병과 결핵성질환 치료약으로
써 왔다.
지의다당류는 동물실험에서 높은 항종양활성을 가지며
다른 고려약과 섞어서 항암제로 쓴 자료가 있다.
들어 있는 다당류인 리케닌을 발효시켜 술을 만들 수도 있다.
최근에는 송라를 원료로 썩음막이약과 항생제를 생산하는 새로운 응용분야가
개척되고 있다.
송라는 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썰어서 쓴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기침에 가래가 많은 증,
임파선종, 유선염, 변혈, 이상 출혈, 고혈압성두통, 학질,
나력, 백대하, 자궁 출혈, 외상 출혈, 칼에베인상처, 무명종독, 폐결핵,
만성기관지염, 불면증, 화상, 호랑이에게 물린 상처, 목의 혹, 두창,
가슴속의 담연을 토하게 함, 각막염 후유증, 종기,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