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인의글

賢才擧之 / 현재를 등용하라

賢才擧之/ 현재를 등용하라

새 대통령-당선인과 인수 위원회는 새 정부 조직에 인물(人物) 선정에 분주할 텐 데, 이에 논어(論語 子路)에 나오는 ‘현재거지(賢才擧止)’를 다시 본다. 여기 현(賢)은 덕(德)이 있는 인격의 사람을 의미하고 재(才)는 능력이 있는 사람을 뜻하니 어질고 능력이 있는 사람을 들어서 쓰라는 말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나라나 사회 조직과 사업에서도 어떻게 현재(賢才)를 잘 뽑아서 적재적소(適材適所)에 배치하여 일을 맡기느냐 가 관건(關鍵)이다. 그래서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라는 말이 생겼으니 정치와 인사 행정에 사람 씀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던 것이다. 새 정부에 현재(賢才)들이 책임을 맡아 세계에서 가장 능률적이고, 가장 부패가 없는 위대한 대한민국 정부가 되기를 진심으로 소망 하여 마지않는다.

위대한 나라, 훌륭한 임금은 예전부터 재야(在野)에 유능하고 인품이 훌륭한 사람이 하나도 버려져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둑 정치(kleptocracy)를 하고 비인격적인 술수 꾼들이 권력의 주위에 있는 나라는 망할 수밖에 없고, 무능력한 사기꾼들이 조직체를 움직이면 마침내 기울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 아니던가. 그래서 정치와 경영의 중요함을 인식해왔으니, 공자(孔子)에게 제자들도 정사(政事)에 관하여 질문했다. “중궁(仲弓)이 계씨 집안의 가신(家臣)이 되었을 때 정사에 관하여 물었다. ‘먼저 담당관들에게 일을 시키고 작은 잘못은 용서해주며, 덕이 있고 재능 있는 자를 들어 쓰라(仲弓爲季氏宰 問政. 子曰 先有司 赦小過 擧賢才)고 공자가 말했다.” 일을 먼저 인품과 능력이 있는 담당자들에게 반드시 맡겨 시키고서 그 이룬 공적을 살필 때 작은 실수는 용서해주라는 말이다. “어질다는 것은 덕이 있다는 것이고, 재주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덕이 있고 능력이 있는 자를 들어 쓰면 책임 맡은 자가 다 그런 사람을 얻게 되어서 정사가 더욱 잘 수행되어 갈 것이다(賢 有德者. 才 有能者. 舉而用之 則有司皆得其人 而政益修矣).”

‘어떻게 덕이 있고 능력 있는 자를 알아서 들어 씁니까?’ 또 물으니 공자가 말했다. “그대가 아는 자를 들어 쓰면 그대가 모르는 자들도 사람들이 그냥 놔두겠는가(舉爾所知 爾所不知 人其舍諸)?” 중궁이 그때의 어질고 능력 있는 사람을 다 알지 못할까 걱정하였기에 공자가 이로서 일러준 것이니, 우선 아는 사람부터 능력자를 들어 쓰면 저절로 모르는 사람도 천거 해줄 것이므로 점차 확대하면 된다는 말이다. 이토록 먼저 일을 능력자들에게 맡기지 않으면 임금이 신하의 직임을 해야 하고, 작은 실수를 용서하지 않으면 아래에 사람이 아주 없게 되며, 어질고 능력 있는 자를 들어 쓰지 않으면 온갖 직책이 다 이지러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 셋을 잃으면 계씨(季氏) 집안의 가신(家臣)도 될 수 없는데, 더구나 천하의 재신이 되겠는 가고 범씨(范氏)가 해석했다. (不先有司 則君行臣職矣, 不赦小過 則下無全人矣, 不舉賢才 則百職廢矣. 失此三者 不可以為季氏宰, 況天下乎?) 마침내 이 나라의 모든 현재(賢才)가 하나도 버려둠을 당하지 않고 다 쓰임을 받아 적재적소에서 능력 껏 자기의 인격을 걸고 최선을 다할 때, 이 지구 상에서 가장 부강하고 올바른 1등 선진국 대한민국이 되지 아니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