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인의글

만리장성을 보는 눈

2011.12.12 영해를 불법침입조업하던 중국어선을 단속하던 해경팀장(이창오 경장)이 중국어선의 선장이 휘두른 25cm의 작업용 칼에 防劍服 옆구리를 찔리어 사망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이 뉴스를 보면서 불현듯 만리장성이 떠오른 것은 나만의 소회가 아닐 것이다.
 
중국인들의 특성은 내부와 외부를 철저히 차단하면서 내 것을 보호할려고 하는데 있는 바, 이것이 가옥으로 나타난 것이 외부와 철저하게 차단되도록 고안된 전통적인 중국인들의 'ㅁ'字形 가옥구조고, 국가적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만리장성이다. 이들의 특질은 '남의 영토를 치고 들어가 담 쌓고 "내 땅"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그대로 고스란히 구현된 것이 바로 인공위성 상에서도 보인다는 소위 만리장성이다.
 
본디 만리장성은 진나라 시황 영정이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통일한 통일제국의 미래에 대해서 점을 쳤는데, 술사가 이르기를 "진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은 胡다"라고 하자 이를 영정의 둘째 아들 胡를 지칭하는 말인줄 모른체,  '오랑캐'를 지칭하는 말이라고만 착각하여 서북쪽의 오랑캐들을 방어하고자 서쪽의 가욕관(嘉山+谷關)에서 부터 동쪽 끝 山海關까지 장장 6254km, 평균 높이 6 ~ 9m, 평균 폭 4 ~ 5m의 장성을 축성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중국 역대 왕조들의 숙원사업이 되면서 속행되다가 명나라 때에 현재의 장성이 완성된 것으로 天安門, 진시황 兵馬俑과 함께 중국을 상징하는 3대 얼굴이 되었다.
 
명나라를 세운 태조 朱元璋은 왕조의 창업을 이루기 전 朱升이라는 隱者를 만나서 국가의 경영방도를 물었는데, 이 때 주승이 답하기를 "담을 높이 쌓고(高築墻), 식량을 모으며(廣積糧), 늦게 왕을 칭하라(緩稱王)"라고 하면서 역량을 쌓고 정세를 잘 파악해 주변세력으로 부터 반감을 사기 이전에 담을 높게 쌓으라고 하여 방벽쌓기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주원장은 이를 그대로 실천하였던 것이다. 중국인의 이같은 사고는 역대 왕조에 두루 나타나 '사람을 한데 모아 성을 쌓는다'는 뜻의 '衆志成城'의 성어가 늘 유행하게 만들었다. 모든 사람이 단결하면 성벽을 이룬다는 이 말에서 '방벽', '담' 등이 중국인들의 마음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큰지를 유추할 수가 있다. 이는 과거의 왕조에만 그치지 않고 현 중국의 집권자인 공산당도 소련과 미국을 상대로 위기의식을 강조할 때마다 毛澤東 등 역대 중국공산주의 지도자들이 늘 강조하였든 "깊이 굴을 파고, 식량을 모으며, 함부로 패권을 내세우지 않는다[深手+穿(손으로 구멍후벼팔알)洞, 廣積糧,不稱覇]"를 주창하는 바, 이는 주승이 주원장에게 건넨 충고와 비슷하다. 이들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國歌에도 그대로 나타내고 있으니 중국의 국가인 '義勇軍行進歌'에 "우리의 피와 육신으로
우리의 장성을 쌓자(血肉長城)'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같은 중국인들의 담쌓기가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것을 넘어서 남의 영역을 먼저 치고들어가 先占할려는 '확장의 담'일 경우에는 항상 문제가 되었는데, 그 실례가 바로 지금의 만리장성이다. 만리장성이 들어선 지역이 원래는 중원지역의 중국인들 거주지가 아니라 북방의 유목민들 거주지였다는 사실이 조사결과 속속들이 밝혀지고 있어 이들이 유목지역으로 깊숙이 들어가서 그곳에 방벽을 쌓은 뒤 유목민들 담 밖으로 몰아낸데서 보듯이 중국인들의 확장의 담이 주변국들의 싸움을 불러왔다는 점이다.
 
이같은 중국인들의 욕심은 급기야 '서쪽 끝 가욕관에서 동쪽 끝 산해관'이라는 기존 만리장성의 전통적 길이 개념을 '동쪽 끝 산해관에서 랴오닝(遙寧)과 지린(吉林)을 지나 압록강까지 이어지는 선'을 만리장성에 이어붙이는 '유동적인 담'으로 변질시켜
총 연장 8800여km라고 말하므로서 중국과 이웃한 한국과 주변국들을 다시 한 번 더 경악시키면서 긴장시키고 있다.
 
조선 조 후기인 17세기 중국을 방문하고 귀국 후 명저 '熱河日記'를 지었던 연암 박지원은 열하일기에서 "중국은 3里마다 성이 들어서 있다'라고 감탄했는데, 그가 감탄한 중국의 담 중 걸작이 바로 위에서 설명한 만리장성인 바, 이를 두고 수 많은 故事와 名詩가 난무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前漢 元帝 때의 後宮으로 흉노족장에게 시집을 간 王昭君(? ~ ?)怨歌와 唐代 시인들로 부터 唐詩의 絶唱으로 불리우는 王維(701 ~ 761)의 西域으로 먼 길을 떠나는 친구와의 이별을 주제로 한 別離詩인 '위성에서 원이를 안서로 떠나 보내며(送元二使安西)'다.
 

이름은 장(嬙 · ·). 자는 昭君(일설에는 소군이 이름이고 장이 자라고도 한다)이였던 왕소군은 남군()의 양가집 딸로 한나라 원제의 후궁으로 들어갔으나, 황제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당시 흉노()의 침입에 고민하던 한나라는 그들과의 우호 수단으로서 중국 여자를 시집보내왔던 풍습에 따라서 BC 33년 그녀는 황제인 원제의 명으로 한나라를 떠나 흉노의 호한야 선우()에게 시집가 연지()가 되었고, 아들 하나를 낳았다. 호한야가 죽은 뒤 호한야 본처의 아들인 복주루 선우()에게 재가하여 두 딸을 낳았다. 이러한 소군의 설화는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윤색되고, 흉노와의 화친정책 때문에 희생된 비극적 여주인공으로 전하여 왔으나 대부분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후한() 때의 《西》에 의하면, 대부분의 후궁들이 화공()에게 뇌물을 바치고 아름다운 초상화를 그리게 하여 황제의 총애를 구하였다. 그러나 왕소군은 뇌물을 바치지 않았기 때문에 얼굴이 추하게 그려졌고, 그 때문에 오랑캐의 아내로 뽑히게 되어 버렸다. 소군이 말을 타고 장안문을 나서는데, 배웅나왔던 원제가 보니 절세의 미인이고 태도가 단아하였으므로 크게 후회하였으나 이미 때늦은 일이었다. 원제는 크게 노하여 소군을 추하게 그린 화공 를 참형()에 처하였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진()나라 때에는 문제() 사마 소()의 이름과 글자가 같은 것을 피하기 위하여 왕명군()이라 하였고, 명비()라고도 불렸다. 그 뒤 그녀의 슬픈 이야기는 중국문학사에 허다한 소재를 제공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소군사()》《명군탄()》이라는 한나라의 악부()가 가장 오래 된 것이고, 그녀를 소재로 한 희곡으로는 원()나라 때의 이 지은 《파유몽고안한궁추잡극(:)》이 가장 유명하다. 이외에도 진나라의 석계륜()이 지은 《왕명군사병서()》가 있고, 당()나라 이후 · 등 많은 시인들이 그녀를 소재로 시를 읊었다. 또 둔황[]에서 발굴된 《명비변문()》에 의하여, 당말 오대()경부터 의 소재가 되었음이 밝혀졌다. 현재까지 회자되는 唐詩로는 '春來不似春'이라는 고사를 낳게 한 당나라 시인 동방규가 지은 五言節句詩가 가장 유명하다. 胡地無花草 오랑캐 땅에는 꽃과 초목이 없으니 春來不似春 봄이 와도 봄같이 않아라 自然衣帶緩 허리끈이 느슨해진것은 非是爲腰身 몸과 허리 때문만은 않으리
 
흔이들 중국 四代美人을 사물에 빗대어 말할 때 이 왕소군은 '落雁'으로도 불리운다. 그녀가 서역으로 시집갈 때 너무나 슬픈 나머지 마상에서 비파를 탔는데, 지나가던 기러기가 그녀의 미모와 비파소리에 반한 나머지 그만 날개짓을 잊어버렸기에
지상으로 떨어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역의 장성과 관련된 또 한사람인 왕유는  양관[陽關: 서역에서 중국으로 진입하는 실크로드의 남쪽 관문으로 지금의 둔황(敦煌)시 서남쪽에 있다. 서역상인들이 중국으로 갈 때는 반듯이 거쳐야 했던 관문으로 북쪽에 있는 玉門關에 비해 위도상 남쪽에 있어서 南向을 뜻하는 '陽'이라는 글자를 붙였다. 주둔 병력과 수 많은 상인들로 인하여 매우 번성하였으나 서역과 교역이 줄어든 宋代에 들어 쇠락했고 현재는 봉화대만 남아 있다] 위성(渭城)에서 친구 원이와 이별하면서
 
渭城朝雨(水+邑)輕塵 위성에 아침비 내려 먼지를 적시니
客舍靑靑柳色新 객사 앞 푸른 버드나무 푸른 빛을 발하고
勸君更進一杯酒 그대에게 권하노니 다시 한 잔 받으시요
西出陽關無故人 서쪽 양관 나서면 친구가 없음이라
 
라고 읊어서 生死를 가늠할 수 없는 위험한 지역으로 떠나는 친구에 대한 우려를 듬뿍 담고 있는데, 이같이 要塞를 떠나는 出塞의 심리상태를 읊은 詩는 같은 盛唐시대의 시인 王翰(687 ~ 726)이 읊은 '凉州詞'의 마지막 귀절의 마음과 운이 비슷한 듯하다.
 









葡萄美酒夜光杯                                         좋은 포도주 야광 술잔에 따라 마시는데

欲飮琵琶馬上催                                         마시려 하면 빨리 나가라고 말위에서 피파소리로 재촉하고

醉臥沙場君莫笑                                         취해 싸우다 모래밭에 누웠다고 웃지 마시게

古來征戰幾人回                                       예부터 전쟁터에서 돌아온 이 몇이던가



   


秦中花鳥已應闌                                         장안에는 꽃과 새 이미 돌아가서 저무는데

塞外風沙猶自寒                                         새외의 바람 부는 사막은 아직 차가와

夜聽胡笳折楊柳                                         밤에 들리는 오랑캐 피리소리인 절양류 곡조

敎人意氣憶長安                                         사람들 마음에 장안이 생각나게 하네

 

* 夜光杯  - 흰옥으로 만들어 야간에 빛나는 술잔 

* 折楊柳  - 横吹曲의 하나

 
만리장성의 서쪽 끝 관문과 북쪽 끝 관문을 벗어나면 바다처럼 막막하게 펼쳐져 있는 사막과 광야로 소위 중국인들이 말하는 大漠과 草原이다. 그 너머에는 늘 중원의 재물과 곡식을 노리며 덤버드는 서북방의 유목민들이 버티고 있다.
 따라서 그들을 막는 튼튼한 방책인 만리장성은 中原 사람들에게는 물리적이면서도 심리적인 防壁이자 최후의 보루였을 것이다. 하지만, 그 道가 지나치면 언제나 주변국들을 핍박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하였으니 향후 전세계가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행보를 지켜봐야만 할 뜨거운 주제일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