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인의글

조선의 3대 명주 죽력고

죽력고는 죽력과 꿀을 소주에 적량을 넣고 용기에 담아 끓는 물에다 중탕하여 생강즙을 넣어 담근 술로

열담(熱痰)을 치료하고 양혈(養血), 청열(淸熱)하며 담궐(痰厥)이 있어 인사불성(人事不省)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술은

대나무가 풍부한 호남지방의 술로 푸른 대를 구우면 나오는 끈끈한 진액(죽력)을 뽑아 만든 술.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전통적으로 빚어져 내려오는 특유의 술로, 대나무를 이용해서 만든다. 푸른 대를 구워서 끈끈한 진액을 뽑아 만든 술이기 때문에 죽력()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소주에 죽력을 넣고 고은 술로 약소주의 일종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고(:'진하게 고아서 만든 물건'이라는 뜻)’를 붙여 ‘죽력고’라 하였다.

1924년 발행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는 “죽력(푸른 대쪽을 불에 구울 때 흘러 나오는 진액)과 꿀을 적당히 소주병에 넣고 중탕하여 쓴다. 강즙()을 넣어도 좋다. 죽력은 법대로 내어야 한다.”고 죽력고 만드는 법을 전하고 있다.

 

 

조선3대명주 꼽히는 '죽력고' 혼이 빚은 묵직한맛 '감동'
정읍 태인양조장

장작불에 올린 소줏고리에서 죽력의 기운이 담뿍 밴 약소주 '죽력고'가 한두 방울씩 떨어진다. 태인양조장의 송명섭씨가 조선의 3대 명주에 드는 죽력고를 전통방식으로 빚고 있다.

 

국사봉 아래에서 바라본 옥정호의 외안날섬.

 

내장산의 핏빛 단풍터널을 지나 만나는 내장사.

 

가을철 입맛을 돋울 산내매운탕.

해거름의 공기는 무겁고 낮게 깔렸다. 어둑해지는 고샅길을 난향처럼 가늘고 길게 퍼지는 술 냄새를 좇아 이리 돌고 저리 돌아 마침내 찾아온 한 양조장.

10리에 퍼지는 술향 덕에 술집에는 문패가 필요없다더니 아무리 둘러봐도 손바닥 만한 간판 하나 없다. 마당 한쪽에 가득 들어선 술독, 소줏고리, 옹기들만이 ‘술 빚는 집’ 임을 이야기한다.

전북 정읍시 태인면의 이 양조장은 ‘죽력고(竹瀝膏)’를 빚는 술도가다. 육당 최남선<조선상식문답>에서 평양의 감홍로, 전주의 이강고와 함께 조선 3대 명주로 꼽은 술이 바로 죽력고다. 녹두장군 전봉준이 일본군에 잡혀 몸을 상한 후 한양으로 압송되기 전 이 죽력고를 청해 먹고는 어혈을 풀고 기운을 차렸다고 전해진다.

송명섭(51)씨는 전국에서 유일한 죽력고 담그기 기능보유자다. 무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죽력고에 대해 물으니 안채에서 술병부터 들고 나온다. “이 술 석 잔을 마시지 않으면 죽력고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자격이 없다”며 잔을 따른다. 노르스름한 빛의 술은 진득하니 혀를 감싼다. 향의 진함과 맛의 묵직함은 그 어느 술보다 강했다. 32도의 높은 도수임에도 목넘김이 부드럽다.

송씨와 죽력고의 인연은 고부에서 한약방을 했던 외증조부로 올라간다. 외증조부는 치료에 도움이 될만한 술의 비방을 모아 치료보조제로 사용했다. 그 중 하나가 대나무 액(죽력)을 이용한 술 죽력고다. 이 죽력고 제조 비법은 송씨의 어머니를 통해 내려왔다.

죽력고는 대나무를 쪼개 항아리에 넣고 3일을 불 지펴 대나무액 죽력을 얻고, 20일 걸려 쌀과 누룩으로 빚은 술을 다시 소줏고리에 붓고 장작불로 8시간을 가열해 죽력에 잰 댓잎에 여과시켜 소주를 내려 만든다. ‘고’는 최고급 약소주에만 붙일 수 있는 술의 극존칭이다.

송씨는 “약 기운 강한 죽력고는 아무리 많이 마셔도 일정 정도 이상 취하지 않고, 다음날 아침에는 사우나를 한 듯 몸속 노폐물이 빠져나가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몸이 가뿐하다”고 설명했다.

예전 술도가가 한참 잘 나갈 때는 인부를 18명이나 썼지만 지금은 단촐하게 송씨 부부만이 양조장을 꾸려나간다. 술은 추수를 끝낸 지금부터 농사일 시작되기 전인 3월까지만 빚는다. 자신의 땅에서 직접 농사지은 쌀로만 가지고 순수 전통방식으로 빚어내다 보니 1년에 생산되는 죽력고의 양은 100여 병에 불과하다. 예약을 한다 해도 쉽게 구할 수 없는 양이다. 

 포대기에 싸인 젖먹이 때부터 어머니가 새끼 손가락에 찍어 입에 넣어주던 술맛을 보고 자랐다는 송씨. “쌀 7잔을 고아야 1잔의 술이 나온다. 이토록 귀한 술을 함부로 마시고 막무가내로 취해서야 되겠느냐”며 품격있는 술마시기를 당부했다. 그는 누구든지 술의 제조법을 알고자 한다면 다 알려주겠다고 했다. “최남선이 조선 3대 명주로 꼽았다면 조선인 모두가 즐길 수 있어야 하질 않겠나. 죽력고는 내가 처음 만든 술이 아닌 우리 민족의 술”이라는 게 그 이유다.

 

 

 

전봉준이 마시고 기력을 찾은 전통술 죽력고

 
 
전북 정읍에는 시도무형문화재 제6-3호 향토술담그기로 지정된 전통술 죽력고가 전해집니다. 죽력고(竹瀝膏)는 청죽 곧 갓 베어낸 푸른 대를 잘게 쪼개 불에 넣어 구워 스며 나오는 진액 곧 죽력을 소주에 넣고, 꿀과 생강즙을 넣어 끓는 물에다 중탕하여 빚는 술입니다. 죽력고는 대나무가 많은 전라도 지방에서 빚은 약용주로 한방에서는 어린이가 풍으로 갑자기 말을 못할 때 구급약으로 사용되었는데, 생지황·계심·석장포 따위의 한약재를 넣어 빚기도 하였다.
 
죽력고는 조선시대 유중림의 ≪증보산림경제≫와 서유구의 ≪임원십육지≫ 등에 나옵니다. 또 최남선의 ≪조선상식 문답≫에서는 평양 감홍로(甘紅露), 전주 이강고(梨薑膏)와 함께 죽력고(竹瀝膏)를 우리나라 3대 명주로 꼽았습니다. 매천 황현이 쓴 ≪오하기문(梧下記聞)≫에는 ‘전봉준이 전북 순창 쌍치에서 일본군에 잡혀 흠씬 두들겨 맞고 만신창이가 된 상태서울로 압송될 때 죽력고를 먹고 기운을 차렸다.’라는 기록이 있다.
 

 
`그가, 잡혔다.`

장형을 맞는 소리가 삼거리까지 들렸다고 하니 지금쯤 숨만 간신히 쉬고 있는 상황일 것이다. 게다가 나흘 후면 서울로 압송될 터. 이번이 그를 보는 마지막이 될 것이다. 일본에 맞서 싸우면 무엇하고, 우리 같은 민초를 위해 살면 무엇 할까. 조정에서 보는 그는, 그저 동학에 빠져 민심을 흐린 반란군인 것을.

우리의 녹두장군. 그가 잡힌 순간부터 동네 곳곳에서 숨죽여 흐느끼는 소리가 담을 타고 흐른다. 대놓고 통곡할 수 있는 이는 없으나 다들 알고 있는 것이다. 이제 그를 영영 보내야 한다는 것을. 그가 싸울 때 우리는 그를 도울 수가 없었다. 그리고 그가 죽어가는 지금도 우리는 그를 도울 수 없다.

하지만 이렇게 넋 놓고 앉아 있을 수는 없다. 그의 푸른 기개를 닮은 술을 빚어 마지막 가는 길에 놓아주고 싶다. 설혹, 그 길이 죽음으로 가는 길이라 해도 내 빚은 술 한 잔으로 그가 형형한 눈빛을 잃지 않고 마지막까지 버틸 수 있다면 나는 술을 빚어야 한다. 언젠가 그가 우리 집에 와서 내가 빚은 그 술을 마시고 이렇게 이야기했던 적이 있다.

"이 술 한 잔이면 앉은 자리에서 백 명도 이길 수 있겠군. 죽기 전에 다시 한번 마실 수 있었으면 좋으련만…."

이제, 다시 그 술을 빚어 그에게 가져다 주어야겠다.

일본군을 피해 뒷산 언덕에 몰래 가꾸었던 청죽 다섯 대를 어둠을 틈타 조용히 베어왔다.

청죽을 가늘고 길게 쪼개는 일은 늘 어렵다. 긴 시간 동안 도끼로 마디를 쳐내고 칼로 길게 쪼개어 항아리에 잘 세워 담았다. 빽빽하게 대나무를 채워 넣고 입구도 쪼갠 대나무로 얽어 막는다. 시간은 자시를 넘어 어느새 계시를 향해 가고 있다. 그믐달이 별 하나 없는 하늘에 걸려 있는 것을 보니 왈칵 눈물이 솟는다.

`술 빚기 전에 이게 무슨….`

혹여, 부정 탈까 싶어 솟아오르는 눈물을 간신히 삼키고 뒤뜰에 마련한 술방으로 향한다. 한 걸음 한 걸음 밑술이 잘 되었기를 기도하며 옮기는 발걸음이 천릿길이다.

마침, 한 달 전 좋은 누룩을 구해 밑술을 빚어 두었던 참이었다. 먹을 쌀도 모자라서 술을 빚는 것은 상상도 못했는데 무슨 맘에 술을 빚었는지 모르겠다. 그가 잡혔다는 소리를 듣는 순간 내가 왜 술을 빚을 마음이 들었는지 알게 됐을 뿐이다.

누룩과 고두밥을 섞어 발효시키고 걸러 덧술을 친 지 3주째다. 그동안 술이 익는 소리로만 술이 잘 되었음을 짐작했을 뿐 혹여 부정 탈까 열어보지도 않았던 술방을 조심스럽게 연다. 향그러운 청주향이 온 방에 가득했다. 항아리 뚜껑을 조심스레 연다. 동동 떠 있는 삭은 고두밥 사이로 달큰하지만 산뜻한 술향이 코 끝에 가득 맴돈다. 누룩향이 역겹지 않고 고소하게 느껴진다. 술밥 사이에 힘차게 용수를 박아 넣자 용수 안으로 맑은 술이 고이기 시작한다. 용수 안에 고인 술을 잘 떠서 따로 항아리에 채워 두었다. 삼일 뒤면 최고의 밑술이 완성될 것이다. 술방을 나와 대나무를 채운 항아리를 들고 뒤뜰로 갔다. 땅을 파고, 넓고 얕은 옹기를 단단히 고정시켰다. 그 위로 대나무를 채운 항아리를 거꾸로 올렸다. 빽빽하게 대나무를 세워 담았지만 입구도 대나무로 단단히 막아서 아래로 떨어지지는 않는다.

옹기와 항아리 사이에 생긴 틈은 물 먹인 한지로 꼼꼼하게 막았다. 한 방울의 죽력도 새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이제, 항아리 겉을 황토로 감싸고, 왕겨로 사흘간 뭉근하게 열을 가하면 옹기로 대나무 진액, 죽력이 모일 것이다. 사흘간 비 한 방울도, 거친 바람도 불어오면 안 된다. 이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여기까지다. 지금부터는 하늘이 만들어야 한다.

하늘도 아는지 사흘간 구름 한 점, 바람 한 줄기가 없어 왕겨는 조용히 타들어갔다. 그동안 일본군이 연기를 보고 몇 번 찾아왔었지만 겨를 태우는 것을 보고는 그냥 돌아갔다. 그들은 죽력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지 못한다. 금빛의 왕겨가 온통 검은 재가 된 날 저녁, 조용히 왕겨를 걷어내고 황토를 깨 항아리를 들어냈다.

검은 빛의 죽력이 항아리 아래 옹기에 찰랑이고 있었다. 땅의 정기와 하늘의 기개를 모은 청죽의 힘. 죽력으로 이제 술을 내려야 한다. 맑은 청주를 떠 소줏고리 아래에 부었다. 소줏고리 안에는 이미 죽력에 푹 담갔던 청죽 잎이 가득 들어 있다.

이제 청주가 증류되면서 죽력 먹은 댓잎을 통과하면 코 끝을 찡하게 하고 심장을 덥히는 알싸한 죽력고가 되어 방울방울 떨어질 것이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 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 간다…."

그의 마지막 길에 바치는 술이 조금씩 완성되어 간다.

내일 그는 이 술을 마시고, 서울로 올라갈 것이다.

▶죽력고는 최남선이 `조선상식문답`에서 평양 감홍로, 전주 이강고와 함께 3대 명주로 꼽은 술이다. 녹두장군 전봉준이 마셨다고 전해졌으며, 이는 타박상에 쓰이던 약술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죽력은 대나무 토막을 항아리에 넣고 3일간 불을 지폈을 때 흘러내리는 대나무즙을 말한다. 지금 전북 정읍의 한 주가에서 죽력고가 생산되고 있다.